< 구형 스마트폰 안 쓰는 스마트폰으로 개인 클라우드 네트워크 완성하기 – 통합 서버 운영 시스템 구축
본문 바로가기

구형 스마트폰 안 쓰는 스마트폰으로 개인 클라우드 네트워크 완성하기 – 통합 서버 운영 시스템 구축

📑 목차

    “스마트폰 여러 대를 활용해 개인 클라우드 네트워크를 구축한 실험기.
    NAS, VPN, CCTV 서버를 통합하고 AI 예측 관리·자동 복구 시스템까지 구현한
    지속 가능한 데이터 자립형 서버 구축 프로젝트.”

     

    하나의 기기로 연결된 나만의 클라우드 세상

    구형 스마트폰 안 쓰는 스마트폰으로 개인 클라우드 네트워크 완성하기 – 통합 서버 운영 시스템 구축

    출처:pixabay

     

    구형 스마트폰 안 쓰는 스마트폰으로 서버, NAS, CCTV, VPN까지 모두 구축한 후 나는 문득 깨달았다.
    이제 필요한 것은 각 기능을 따로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서버를 하나의 네트워크 안에서 유기적으로 통합해 운영하는 구조였다.


    즉, 나만의 완전한 개인 클라우드 네트워크를 완성하는 단계였다.

    일반적으로 ‘클라우드’라 하면 거대한 데이터센터를 떠올리지만,
    그 본질은 결코 거기에 있지 않다.


    핵심은 언제 어디서나 접속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장치가 유기적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연결성의 완성이다.
    내 목표는 구형 스마트폰 안 쓰는 스마트폰 여러 대를 하나의 클러스터로 묶고,
    그 안에 웹서버·파일 저장소·보안망·백업 시스템을 모두 포함시키는 것이었다.

     

    나는 메인 서버로 2018년식 안드로이드폰을,
    보조 노드로 두 대의 중고 스마트폰을 배치했다.
    각 기기에 Termux를 설치하고 리눅스 환경을 통일한 뒤,
    데이터 전송용으로 rsync, 실시간 동기화용으로 Syncthing을 설정했다.


    이렇게 구축한 네트워크는 NAS가 중앙 허브로서
    CCTV 서버와 VPN 서버의 데이터를 관리하고,
    각 보조 노드가 일정 주기로 서로 백업을 수행했다.


    결과적으로 한 기기가 꺼져도 자동으로 복구되는
    자가 치유형 클라우드 네트워크가 완성됐다.
    이 구조를 실제로 구동시켰을 때 느껴지는 안정감은 생각보다 훨씬 강력했고, 마치 작은 데이터센터가 손안에 존재하는 듯한 묘한 감동을 주었다.

     

    개인 클라우드 아키텍처 설계와 운영 원리

     

    이 통합 시스템의 구조는 간단하면서도 매우 견고했다.
    각 스마트폰은 하나의 역할만 맡되,
    모든 장치가 VPN 터널 내부에서 통신하도록 설정했다.


    중앙 NAS가 클라우드의 허브 역할을 맡고,
    CCTV 서버는 영상 데이터를 공급하며,
    VPN 서버는 외부 접속을 위한 보안 관문으로 작동했다.

     

    이 구조의 장점은 중앙 집중형과 분산형의 장점을 동시에 취한 것이었다.
    중앙 NAS는 관리의 중심이 되지만,
    각 장치는 독립적으로 작동해 장애 발생 시 전체가 멈추지 않는다.


    예를 들어 NAS가 일시적으로 꺼지더라도,
    보조 서버는 로컬에 캐시 데이터를 저장했다가
    복구 시 자동으로 업로드를 재개한다.

    이 덕분에 한 장치의 고장이 전체 시스템의 중단으로 이어지지 않아, 일상적인 운영 중에도 안정성과 신뢰성을 꾸준히 확보할 수 있었다.

     

    나는 웹 접근을 위해 Nextcloud를 도입했다.
    이 환경은 브라우저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파일에 접근할 수 있게 해 줬고,
    사진·문서·동영상 미리 보기도 지원했다.


    또한 스마트폰 내부 저장소와 NAS 간 실시간 동기화에는
    Syncthing이 큰 역할을 했다.
    두 시스템을 결합하자
    웹 클라우드 + 로컬 미러링이 결합된 완벽한 개인 데이터 허브가 완성됐다.


    시간이 흐르며 이 구조는 단순히 백업이 아닌,
    서로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교환하는 데이터 생태계로 성장했다.

    시간이 지나며 이 네트워크는 단순한 백업 공간이 아니라
    하나의 자율적 데이터 생태계로 발전했다.


    스마트폰 세 대가 서로 신호를 주고받으며
    서로의 파일을 백업하고, 감시하며, 필요시 동기화했다.
    이 작은 시스템 속에서 나는 기업용 클라우드의 축소판을 직접 체험했다.
    그 순간 나는 기술이 거대하지 않아도 충분히 의미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명확히 깨달았다.


    자동화와 보안 – 완성도를 높이는 핵심 단계

    운영 초기에는 데이터 동기화 타이밍 문제와 충돌이 자주 발생했다.
    특히 파일이 동시에 수정되면 중복 저장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inotifywait를 이용한 이벤트 기반 스크립트를 작성했다.


    파일이 변경될 때마다 자동으로 변경 내역을 기록하고,
    최신 버전만 유지하도록 백업 규칙을 지정했다.
    그 결과 중복 파일 문제는 완전히 사라졌다.


    이 과정은 자동화의 정수를 보여줬고, 반복적인 문제 해결의 효율을 극대화했다.

    보안 측면에서는 VPN 기반 통신 구조를 그대로 유지했다.
    모든 트래픽은 암호화된 터널을 통해 이동하며,
    외부 포트는 하나도 열지 않았다.


    이 구조 덕분에 DDOS나 해킹 시도는 원천 차단되었다.
    추가로 각 스마트폰 서버에 fail2 ban을 설치해
    로그인 실패 3회 이상 발생 시 자동 차단 기능을 적용했다.


    이제 클라우드 전체가 하나의 보안 유기체로 작동했다.
    이 보안 구조는 단순한 보호를 넘어, 서버가 스스로 방어하는 자율적 감시 체계로 발전했다.

    또한 나는 자동 백업 기능을 강화했다.
    rsnapshot을 이용해 하루에 한 번 전체 백업을 수행하고,
    7일 이상 지난 백업은 자동 삭제되도록 스케줄링했다.


    모든 서버의 상태는 htop과 vnstat 로그를 통해 모니터링했고,
    트래픽, CPU, 저장 공간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했다.
    이 과정을 통해 데이터의 흐름이 투명해지고, 시스템이 예측 가능한 형태로 움직이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점은 ‘운영’보다 ‘유지’의 철학이었다.


    서버를 단순히 구축하는 건 누구나 할 수 있다.
    하지만 24시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건 습관과 관리의 영역이다.
    나는 매일 아침 로그를 확인하고, 매주 보안을 점검하는 루틴을 만들었다.
    그 습관이 결국 이 시스템을 살아 있는 네트워크로 만들었다.
    꾸준함이 곧 기술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가장 강력한 자산이라는 사실도 함께 배웠다.


    AI 자동화와 예측 관리로 진화하다

    클라우드 네트워크가 안정화된 후 나는
    한 단계 더 나아가 AI 기반 자동 관리 시스템을 실험했다.
    스마트폰의 내부 스케줄러와 파이썬 기반 예측 모델을 결합해
    CPU 온도, 메모리 사용량, 트래픽 변동을 예측하도록 설정했다.


    이 데이터는 InfluxDB에 저장되고,
    Grafana 대시보드를 통해 실시간으로 시각화됐다.
    단순한 숫자 이상의 패턴이 눈에 보이기 시작하면서,
    데이터가 스스로 나를 가르치는 느낌이었다.

     

    예를 들어, 낮 시간대 트래픽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면
    자동으로 백업 스케줄이 밤 시간대로 옮겨진다.
    또한 시스템 부하가 일정 기준을 넘으면
    자동으로 백업 서버가 우선 가동되도록 스크립트가 작동한다.


    이 모든 과정이 완전 자동화되어,
    나는 손을 대지 않아도 클라우드가 스스로 균형을 유지했다.
    마치 살아 있는 생명체가 스스로 호흡하고 회복하는 듯한 인상이었다.

     

    이 시스템은 단순히 ‘스마트폰 서버’가 아니라
    하나의 지능형 개인 데이터 허브로 진화했다.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달하는 것을 넘어,
    스스로를 진단하고 복구하며, 효율적으로 자원을 관리하는
    작지만 강력한 자율형 인프라였다.


    이러한 구조는 기술을 단순히 사용하는 단계를 넘어,
    기술이 인간의 손끝에서 ‘스스로 작동하는’ 존재로 바뀌는 진화를 상징했다.

    그리고 나는 AI 관리 시스템에 추가로
    ‘이상 감지(Anomaly Detection)’ 기능을 실험했다.


    클라우드가 평소보다 비정상적으로 느려지거나
    CPU 점유율이 갑자기 치솟으면
    AI가 원인을 분석해 푸시 알림으로 알려주는 기능이다.


    이 덕분에 나는 물리적으로 서버를 건드리지 않아도
    언제 어디서나 시스템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 기능이 도입된 뒤, 내 클라우드는 더 이상 사람이 돌보지 않아도
    스스로 자가 점검과 복구를 수행하는 완전한 자율 서버 생태계로 발전했다.


    결국 나는 ‘기술이 사람을 돕는 것’을 넘어 ‘기술이 스스로 존재하는 세계’의 문턱을 체험한 셈이었다.


    개인 클라우드 네트워크가 남긴 변화

    이 실험을 통해 나는 기술의 본질을 다시 느꼈다.
    클라우드는 거대한 기업의 전유물이 아니라,
    개인이 스스로 창조할 수 있는 디지털 생태계였다.


    스마트폰 몇 대로 구성한 이 네트워크는
    기업 클라우드보다 작지만 훨씬 자유로웠다.
    이 작은 자유가 내 삶의 기술 철학을 완전히 바꿔놓았다.

     

    이제 나는 외부 서비스를 거의 이용하지 않는다.
    사진, 문서, 영상, 메모—all data—가
    내 VPN을 거쳐 내 NAS와 백업 서버로 순환한다.


    데이터 유출의 위험은 사라졌고,
    업로드 속도나 용량 제한에 대한 스트레스도 없어졌다.
    내 삶의 디지털 흐름이 마침내 온전히 내 손 안으로 돌아온 셈이다.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기술 실험을 넘어
    디지털 자립 선언이었다.


    버려진 구형 스마트폰 안 쓰는 스마트폰이 다시 생명을 얻고,
    그 안에서 나의 데이터가 안전하게 숨 쉬고 있었다.
    기술은 빠르게 소비될수록 가치를 잃지만,
    다시 활용될 때 진짜 의미를 얻는다.


    그리고 그 과정을 직접 경험한 사람만이
    기술의 진짜 아름다움을 말할 수 있다는 걸 깨달았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 시스템을 구축하며 나는
    ‘기술의 인간화’라는 개념을 실감했다.


    복잡한 장비 없이도, 오직 의지와 시간만으로
    누구나 자신만의 클라우드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은
    디지털 격차를 줄이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나는 이제 이 경험을 더 많은 사람들과 나누고 싶다.
    누군가의 서랍 속 구형 스마트폰 안 쓰는 스마트폰이 또 다른 사람의 클라우드가 된다면,
    그건 세상에서 가장 인간적인 기술의 순환일 것이다.
    이 실험이 누군가에게 새로운 도전의 불씨가 된다면,
    그 자체로 내가 만든 클라우드의 존재 이유는 충분하다.